북한 공산화 과정 북한 공산화 과정 1. 북한정권의 정체 이해 ① 외형상 : 1945. 8. 15 종전결과 소련군 점령, 공산정권 수립으로 공산화 ② 공산화 배경 : 역사적 배경, 조명 필요(조선조 절대주의·전체주의 문화전통 → 일제 전체 주의 정치의식 + 민중적 저항 약화) 2. 공산화 순응배경 ① 조선조 전통정치문.. 강연자료 2015.07.07
평화통일의 당위성과 민족통일의 목표 평화통일의 당위성과 민족통일의 목표 1. 평화통일의 당위성 가. 민족사적 측면 ① 단일민족사회 : 타율에 의한 인위적 분열사회 생활을 극복 - 신라통일 1,300년(독일의 통일역사 19C 통일) - 미·소 등의 패전국이 아님 : 타율적 분단고통 해소 ※ 남북 모두 공유한 민족적 정서로 봐서 한정.. 강연자료 2015.07.07
6.25전쟁 6.25전쟁 1. 북한의 6.25전쟁 성격 - ‘해방과 통일의 전쟁’(미제로부터 해방, 38선 헐어 통일) - ‘정의의 조국해방전쟁’(김일성 정권에 의한 한반도 통일) - ‘민주기지노선’이 해방전쟁의 방침 ※ ‘민주기지노선’의 일환 → 김일성 권력적 동기 + 반제 반봉건 민주주의 혁명 ※ 북한지.. 강연자료 2015.06.03
북한의 대남정책 목표 변화 북한의 대남정책 목표 변화 1. 통일정책과 대남정책의 정의 가. 통일정책(1962. 2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4기 제8차 전원회의 김일 성 교시) ‘3대 혁명역량강화’ 노선 북조선 혁명역량 - 정치적 역량, 경제적 역량, 군사적 역량 남조선 혁명역량 - 남한정부의 전복기도, 대남공작과 평화.. 강연자료 2015.01.20
통일의 참뜻(개념) 통일의 참뜻(개념) 1. 분단 : 통일과 대립되는 개념 ◦ 「하나의 생활권속에 살던 또는 살아야 할 사람들(민족 or 국민) 이 다른 생활권으로 나누어져 있는 상태」 (지리적·역사적 개념) ◦ 「하나의 국가이어야 할 것이 둘 또는 그 이상으로 나누어져 있는 상태」 ◦ 분단배경 - 19.. 강연자료 2015.01.19
10월25일은 '독도의 날' “독도는 1900년 10월 25일, 고종황제께서 울릉도를 군으로 승격하고 독도를 울릉군 소속으로 하는 관보 1716호를 반포하여 대내외적으로 한국 땅 임을 천명하였다” 올해는 ‘독도칙령제정 제114주년 독도의 날’ 강연자료 2014.10.24
휴전이후 북한의 도발 휴전이후 북한의 도발 【1958년 : 1건】 1. 창랑호 납북사건(1958년) 1958년 부산발 서울행 대한국민항공사 소속 창랑호여객기는 34명을 태우고 이륙한 후, 평택 상공에서 납치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에 있는 순안공항에 강제 착륙당했다.북한으 언론기관을 통해 "대한국민항공사.. 강연자료 2014.09.29
통일 및 관련개념 정리 통일 및 관련개념 정리 1. 통일 남북한이 하나의 통일국가를 형성하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여기서 국가는 포괄적인 생활단위로서 단일 정부, 단일 영토, 단일 법체제, 단일정치체제를 갖춘 조직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통일개념을 적용하면 남북한 관계는 분단 또는 통일이라는 양분되는 .. 강연자료 2014.09.25
6.25전쟁과 제주도 6.25전쟁과 제주도 6.25전쟁은 한반도 최남단 제주도에 많은 변화와 자극을 가져왔다. 절박한 전쟁 상황으로 당시 제주도는 우리나라 최후의 땅이었다. 유사 이래 제주도에 본토사람들이 가장 많이 유입되었고, 전장에 투입될 군인 양성을 위한 훈련소가 생겨났으며 민간인들에게는 최후의.. 강연자료 2014.09.12
북한체제의 안보.군사정책 북한체제의 안보·군사정책 1) 개요 - 안보정책결정에서 고려해야 할 최상위 방침은 국가목표 - 국가목표는 헌법 전문이나 사회주의권 국가인 경우 당규약에서 파악할 수 있음. - 국가목표는 국가정신이나 실체를 계속 유지시켜 나간다는 선언적, 명분적 인 내용 2) 남북의 국가목표 (북한.. 강연자료 2013.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