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천야학당 조선야학당 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 2490번지 조천 야학당(夜學堂)은 1925년 6월 1일 항일운동가 김시용 김시균 선생등에 의해 이곳에 설립되어, 마을 청소년들에게 한글과 수학을 가르치며 문맹을 물리치고 근대의식과 항일 민족의식을 깨우치는 교육의 산실이 되었.. 항일운동 유적지 2019.06.13
제주해녀항일운동기념탑 제주해녀항일운동기념탑(연두망 동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상도리 산2-1번지 - 1932년 1월 제주도 동쪽의 하도, 종달, 세화, 우도, 시흥, 오조리 지역 해녀 1천여 명이 전개한 해녀항일운동 1차 집결지 제주시 구좌읍 연두망 작은 동산에 우뚝 서있는 ‘제주항일운동기념탑’은 19.. 항일운동 유적지 2015.07.13
조천만세동산(미밋동산) 조천만세운동 1919년 3월 21일부터 24일까지 조천지역에서 1차는 미밋동산(만세동산)에서, 2~4차는 군중들을 동원할 수 있는 조천장터를 이용하여 항일만세시위를 전개하여, 제주인들에게 민족의식을 일깨우고 이후 제주지역에 벌어지는 항일운동의 모태가 되었다. 3.1독립운동 기념탑 이 탑.. 항일운동 유적지 2015.07.13
무오 법정사 항일운동발상지 법정사는 1910년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법정이오름 능선 해발 680m에 터를 잡은 이곳에서 일어난 투쟁은 1919년의 3.1운동보다 5개월 먼저 일어난 제주도내 최초 최대의 항일운동이며, 1910년대에 종교계가 일으킨 전국 최대 규모의 무장항일운동이다. 1918년 10월 7일 법정사에서 평소 일본의 .. 항일운동 유적지 2015.07.10
남강이승훈선생적거지 남강이승훈선생적거지 민족대표 33인중의 한사람으로 한말 애국계몽운동가 남강 이승훈이 1911년 5월 신민회 사건으로 거주의 제한을 받고 제주도로 유배되었는데, 그 당시 6개월여간 기거하던 곳이다. 이승훈은 1907년 평안북도 정주의 용동에 강명의숙을 세워 근대교육을 시작하였고, 같.. 항일운동 유적지 2015.07.10
조설대 조설대 제주시 오라2동에 ‘조설대’가 있다. 오라동 연미마을에는 면암 최익현 선생의 유지를 추모하기 위한 ‘문연사’가 있다. 1904년 대한제국을 일본의 보호국으로 한다는 굴욕적인 내용의 ‘항일의정서’를 강제로 체결하게 되자 이응호, 김좌겸, 김병로 등 제주의 젊은 유림 12인은.. 항일운동 유적지 2015.07.09
의병 김만석의 묘 의병 김만석의 묘 김만석은 1885년 제주군 중면 이도리 동광양에서 태어났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우리나라는 외교권이 박탈되고, 일본은 통감부를 설치하여 국내정치에 관여하기 시작했다. 1907년에 일본에 의하여 고종황제가 강제퇴위를 당하자 국내에서는 의병활동이 이곳저곳에서 일.. 항일운동 유적지 2015.06.01
무오년 법정사 항쟁 무오년 법정사 항쟁 무오법정사 항일운동은 기미(1919년)3.1운동보다 5개월 먼저 일어난 제주도내의 최초 최대의 항일운동이자 1910년대 종교계가 일으킨 전국 최대 규모의 무장항일운동이다. 1918년 10월 7일(월) 서귀포시 도순동 산 1번지에 있는 법정사에서 평소 일본제국의 통치를 반대하.. 항일운동 유적지 2015.05.27
의병항쟁기념탑 의병항쟁기념탑 이 기념탑은 제주도에서 항일운동을 하다 운명을 달리한 애국지사들의 애국충정을 기리기 위하여 도민의 정성으로 모충사에 건립하였다. 한말 일제의 침략에 항거하여 우국지사들이 전국 방방곡곡에서 의병을 일으켰는데, 이곳 제주도에서도 1908년 제주 유림 김석윤, .. 항일운동 유적지 201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