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 3.4기 해병3.4기를 주축으로 한 제주의 청년학도 해병4기 제주북교 연병장에서 입교식 해병대가 제주와 인연을 맺게 된 것은 1949년 12월 28일 5개 중대병력이 제주도로 이동하면서 부터다. 당시 제주도에는 육군 독립 제1대대 병력만 주둔하고 있었는데 병력교대나 물자수송, 환자이동 등을 해군.. 제주와 군 2018.10.12
공군, 딘 헤스 대령 공적기념비 제막식 거행 공군, 딘 헤스 대령 공적기념비 제막식 거행 - 딘 헤스 대령, 6·25전쟁 초기 한국공군을 싸울 수 있는 군대로 만든 은인이자 1년 간 250회 출격한 항공전 영웅 - 무고하게 희생된 전쟁고아를 추모하는 고인의 글 공적기념비에 함께 새겨 공군은 3월 9일(목), 6·25전쟁 항공전의 영웅이자 초창.. 제주와 군 2018.06.16
한국정부의 제주도 이전계획 한국정부의 제주도 이전계획 미국정부가 1951년 1월12일 중공군의 참전과 관련하여 결정한 유엔군의 전쟁지도지침에는, 강압에 의한 철수시 유엔군은 일단 일본으로 철수하되, 한국정부와 군경을 제주도로 이전시켜 저항을 계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중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 제주와 군 2016.11.03
해병대와 제주 해병대의 인천상륙작전 모습 1949년 12월 28일 해병대 5개 중대병력이 제주도로 이동했다. 당시 제주도에는 육군 1개 대대 병력만 주둔하고 있었는데 병력교대나 물자수송, 환자이동 등을 해군선박에 의존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경남 진주 해병대와 제주도의 육군 임무를 교대하면 이.. 제주와 군 2015.07.07
1.4후퇴 당시 제주에 온 고아 - 베틀힘 1.4후퇴 당시 제주에 온 고아 김정렬 장군님은 제주도를 훈련장소로 거론했다. 후에 이것을 인연으로 1000여명의 고아들이 “희망의 나라”를 찾게됐다. 한국 서해안 끝에서 60마일 떨어진 이 섬은 직경 20마일 크기의 화산 폭발로 이뤄진 땅이었다. 김장군님은 이미 병사 몇 사람을 파견해 .. 제주와 군 2015.06.25
제주와 피난민 제주와 피난민 피난민촌 흥남철수 6.25전쟁이 발발하자 정부가 당면한 큰 문제중의 하나는 민심의 동요를 막는 것과 함께 피난민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었다. 정부는 남침직후 6월 25일 가장 먼저 질서유지와 민심동요의 예방차원에서 긴급명령 제1호인 ‘비상사태하의 범죄 처단에 관한 특.. 제주와 군 2015.06.13
중공군포로와 제주 중공군 포로와 제주 중공군이 6.25전쟁에 전격적으로 개입하면서 전선에서는 북한군포로와 함께 중공군포로의 숫자도 늘어나기 시작한다. 이들 포로들은 처음에 부산에 수용되어 있었는데 반격작전과 중공군 개입으로 전선의 변동이 심해져 포로가 대량으로 발생하면서 최대 166,000여 명.. 제주와 군 2015.06.13
1.4후퇴와 제주로 온 고아 성공적인 인천상륙작전으로 북진이 계속되면서 통일이 다가오는 듯 했지만 10월 25일 중공군 1,2차 공세를 시작으로 국군과 유엔군은 철수를 거듭하게 된다. 1950년 12월 24일 서울 시민들에 대한 소개령이 내려졌을 때 당시 서울시립 아동양육원에 있던 고아 1,059명의 피난문제가 제기되었.. 제주와 군 2015.06.12
6.25전쟁기간 제주도주요일지(1953.1.1~7.27) 1953년 1월5일 김정평(여, 41, 애월면 하귀리), 동리출신 고아 2명을 수일간 자 기 집에서 보호하다 5일 제주경찰서로 찾아가 보호책을 의뢰함 1월6일 우체국, 신축 도 청사 전화가설 작업을 착수하고 있는 가운데 6 일부터 일부가 개통되었다고 함 김유신(추자면 신양리).김소녀, 복쟁이 알을 .. 제주와 군 2015.02.02
6.25전쟁기간 제주도 주요일지(1952.1.1~12.31) 1952년 1월3일 제주여중 동창회, 삼성혈에서 창립총회를 거행하였다. 1월5일 비상경비사령부, 2일 21시 50분경 속칭 ‘베릿포’지경에서 무장잔 비 10명과 교전을 벌여 1명을 사살하고 3일 1시 30분경 와흘지 구에서 약 30명의 잔비를 격퇴시켰다고 발표하였다. 1월6일 제주경찰서, 6일부터 12일.. 제주와 군 201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