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98병원 현재 가사실로 사용 육군 98 병원 6·25발발로 육군 제1훈련소를 비롯한 각 부대가 제주도에 주둔하자 육군98병원도 이곳 모슬포에 설치되었다. 건물은 80년대 초반 철거되었으나 정문은 현재에도 그 모습이 남아있다. 현재 대정여고가 위치한 이곳은 본관 서쪽과 남쪽으로 병원건물이 있.. 국군태동기와 6.25이후 전사적지 2019.11.29
대한민국 해방기념비 대한민국 해방기념비 “수많은 열사가 나라를 위해 순국했으나 장하도다. 한일합방 조약으로 36년동안 일찍이 반만년 역사에 없었던 주권박탈이 태평양전쟁으로 일제가 항복하니 그 속박에서 벗어나 민족의 숙원이 성취되니 통쾌하도다. 우리들은 그 환희를 이기지 못하여 이 비를 세워.. 국군태동기와 6.25이후 전사적지 2015.06.01
해병혼탑 (해병혼탑 앞면에 새겨진 있는 비문) 여기 탐라의 「푸른 넑」의 엉켜 탑이되다 갈리운 땅덩이 위에 통일의 횟불을 높이든 해병혼은 솟았나니 평화를 염원하는 상 앞에 겨레여 옷깃을 여미이시라 (취지문) 단군의 역대를 두고 유례 없는 백의민족의 수난 6.25동란을 상기한다. 국운명.. 국군태동기와 6.25이후 전사적지 2006.03.15
국군태동기와 6.25이후 국군태동기와 6.25이후 1. 역사적 상황 1945년 8월15일 정오에 일본 천황의 항복방송에 의하여 우리나라는 일제의 쇠사슬로부터 벗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조국 광복이 자력에 의해서가 아닌 타력에 의하여 이루어졌으므로 광복 후의 사태를 수습할 만한 대치(代置)세력이 없었다. 9월9일 하.. 국군태동기와 6.25이후 전사적지 2006.02.28
포로수용소 건물 잔해 포로수용소 건물 잔해 6·25당시 중공군 포로들을 수용하기 위한 시설이 이곳 모슬포 지역에도 있었다. 대부분 무너지고 철거되어 그 윤관만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이다. 송악산 근처에는 이곳 이외에도 또다른 중공군 포로수용소가 있었다고 하나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 위.. 국군태동기와 6.25이후 전사적지 2006.02.24
모슬포 천주교회 모슬포 천주교회 6·25당시 이 지역에 수용되었던 중공군 포로들에 의해서 건설되었다는 모슬포 천주교회. 송악산쪽 만다리동산 일대 수용되었던 중공군 포로들에 의해 건설, 포로교환 협상후 건축이 중단되었다가 1954년 3월7일 건축완료 연 300여평 ◦ 위치 : 서귀포시 대정읍 하모리 국군태동기와 6.25이후 전사적지 2006.02.24
제3교육연대 정문 제3교육연대 정문 이미 무너지고 훼손되어 언제 자취를 감출지 모르는 육군 제5훈련소 제3교육 연대 정문. 1950년 6·25발발 이후 불리한 전황 속에서 지리적 여건등으로 이 지역에 육군 제5훈련소 제3교육연대가 주둔하였다. 제3교육연대는 제25교육연대(육군 제1훈련소의 모체)와 함께 수많.. 국군태동기와 6.25이후 전사적지 2006.02.24
제3숙영지 터 제3숙영지 터 모슬포 육군 제1훈련소 제3숙영지로 사용되었던 곳 당시의 흔적을 알려주는 어떤 것도 찾을 수 없다. ◦ 위치 : 서귀포시 하원동 법화사 입구 국군태동기와 6.25이후 전사적지 2006.02.24
공군사관학교 훈적비 공군사관학교 훈적비 6·25가 발발하자 공군사관학교가 이곳 대정초등학교로 이동하여 사관생도들을 길러 내었다. 이곳에서 양성된 1,073명의 사관생도들은 수료 후 국토를 유린하는 북한 및 중공군을 상대로 막강한 대한 공군의 위력을 유감없이 발휘하여 지상전 지원 및 제공권 확보의 .. 국군태동기와 6.25이후 전사적지 2006.02.24
강병대 교회 1951년 3월21일 모슬포 육군 제1훈련소가 정식으로 출범된 이후 훈련장병들의 정신력을 증강시키기 위해 당시 육군 제1훈련소장으로 있던 장도영 육군소장의 적극적인 협조아래 강병대 교회가 설립되었다. 1952년 5월1일 기공되었으며 육군부대의 철수로 1965년 공군 제8546부대의 기지교회로.. 국군태동기와 6.25이후 전사적지 2005.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