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혼비(애월 장전) (제주시 애월읍 장전리) 1. 건립취지 - 6.25전쟁당시 전사한 장전리 출신 전몰장병들의 영혼을 추모하기 위하여 1963년 장전리재향군인회에서 건립 제주도내 충혼비 2008.01.17
충혼비(애월읍 유수암)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 1. 건립취지 - 한국전쟁 당시 조국을 지키다 산화한 금덕리(현 유수암리)장병들의 영혼을 추모하고 이들의 업적을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1958년 주민들이 건립 제주도내 충혼비 2008.01.17
충혼비/순직비(애월읍 용흥) (제주시 애월읍 용흥리) 1. 건립취지 - 4.3 및 6.25 당시 조국과 향토를 방위하다 숨져간 용흥리 출신 전몰장병과 순직경찰의 넋을 기리기 위하여 1962년 용흥리재향군인회에서 건립 제주도내 충혼비 2008.01.17
충혼비(애월 광령)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1. 건립취지 - 한국전쟁 당시 조국과 민족을 수호하다 산화한 지역내 20명의 국군장병들의 넋을 추모하기 위해 1955년 광령리재향군인회가 주관이되어 건립 제주도내 충혼비 2008.01.17
충혼비(안덕면 대평리) 위치 : 서귀포시 안덕면 창천리 947-1 1. 건립취지 - 6.25전쟁 중 전사한 대평리 출신 육군 이등중사 양태윤 외 9명의 호국영령들을 추모하고 후세에 길이 빛내기 위하여 1956년 2월 대평리 군산 남록 꿩망동산에 세워있다. 2. 비문 - 아아 장하다, 순국전우여 조국통일의 멸공성전에 위훈무공을.. 제주도내 충혼비 2008.01.17
충혼비(안덕면 화순) 위치 : 서귀포시 안덕면 화순리 233번지 1. 건립취지 - 6.25전쟁 당시 조국과 향토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꽃다운 목숨을 바쳐 전사한 화순리 출신 육군 이등상사 성부훈 등 13명의 전몰장병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1957년 5월 화순리재향군인회에서 건립. 화순리 초남동산에 세워있다. 2. 비문 - .. 제주도내 충혼비 2008.01.17
충혼비(안덕면 서광) 위치 : 서귀포시 안덕면 서광리 2471-1 1. 건립취지 - 조국통일을 위하여 멸공전선에 몸 바치신 서광리 출신 육군소위 이영평 등 24명의 호국영령들들과 제주4.3사건 당시 지역방어를 하다 애석하게도 무장대에 의해 희생된 경찰관들을 기리기 위하여 1955년 서광리민 일동이 건립. 광해악 서.. 제주도내 충혼비 2008.01.17
충혼비(안덕면 덕수) 위치 : 서귀포시 안덕면 덕수리 2420-1 큰동산 1. 건립취지 - 6.25전쟁의 전승을 염원하다 숨진 덕수리 출신 호국영령과 4.3사건 당시 부락을 사수하다 순직한 전몰장병과 민간인들의 얼을 추모하기 위해 1950년(우)과 1955년(좌) 덕수리민 일동이 건립 2. 비문 - 단기 4283년 6월 25일 새벽 북한괴뢰.. 제주도내 충혼비 2008.01.17
충혼비.순직기념비(안덕면 감산) 위치 : 서귀포시 안덕면 감산리 17번지. 1. 건립취지 - 감산리 출신 6.25전사자 육군 이등상사 강성화외 12명의 얼을 기리기 위하여 1956년 감산리재향군인회 및 감산리민일동이 건립 - 4.3 당시 순직한 보향대장 강문봉외 15명의 넋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 2. 비문 - 구국제민의 대임을 두 어깨에.. 제주도내 충혼비 2008.01.17
충혼비(성산읍 온평) 위치 :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 873-1 1. 건립취지 - 6.25전쟁시 조국을 지키다 숨져간 온평리 출신 고공삼 외 23명 호국용사의 영혼을 고향땅에 포근히 잠들게 하고 그들의 넋을 기리기 위하여 온평리민들이 1963년 1월 5일 이 비를 건립. 온평리 제사동산에 세워짐. 2. 비문 - 625의 수호신들 포.. 제주도내 충혼비 2008.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