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의용수비대 독도의용수비대 한국전쟁으로 영토의 획정이 불안정한 1952년 2월, 일본정부가 독도를 자국영토로 주장하고 독도와 주변해역에 출어중인 우리 어민들의 조업을 방해하였다. 이때 33명의 울릉도 출신 제대군인들은 우리의 국토인 독도를 수호하기 위하여 정부의 지원없이 스스로 독도의용.. 강연자료 2006.04.18
캐나다 재향군인회 캐나다 재향군인회 The Royal Canadian Legion(캐나다 재향군인회)는 1926년에 창립되어 약 45만명의 회원이 있음. 비정치적 단체로서 정부의 재정지원은 없으며 회원들의 연회비로 운영함. 기타 향군 친목단체 : 육군 연금수혜자 협회, 간호병과 복무자협회, 해군·함대복무 퇴역군인협회, 연합 .. 강연자료 2006.04.18
대만 관병보도위원회(VAC) 대만 관병보도위원회(VAC) 대만의 재향군인회는 보훈처와 기능을 공유하고 있으며 정부관리가 운영하는 하향식 행정체계(중앙회→지회→분회)를 지닌 정부지원단체임. 공식명칭은 ‘행정원 국군퇴제역 관병보도위원회(Veterans Affairs Commission Repubric of China : VAC)'임. 창립/조직 1951년 11월에 .. 강연자료 2006.04.18
호주의 향군제도 호주의 향군제도 호주의 대표적 향군단체는 ‘RSL(Returned Service League)'로서 ’호주재향군인회‘라 칭함. 그 외 각 전쟁의 참전용사들로 구성된 재향군인 친목단체들이 있으며, 특히 한국전 참전단체는 주요도시 및 지역별로 30여개의 친목단체가 구성되어 있음. 재향군인회(Returned Service Lea.. 강연자료 2006.04.18
영국재향군인회 영국재향군인회 1921년에 설립되어 1925년 법인단체 설립법에 의거 British Legion으로 법인 등록함. 1960년에는 자선사업법에 의거 자선단체로 등록함. 설립목적은 현역 및 제대군인, 부양가족의 복지증진에 기여하고, 제대군인 정착 지원과 이 활동을 위한 기금모금에 있음. 회원/조직 일반회.. 강연자료 2006.04.17
미국의 향군단체 미국의 향군단체 미국 향군성 자료에 있는 향군단체의 수는 114개로서 의회등록 향군단체가 32개, 향군성 인정 향군단체가 12개, 임의 향군단체가 70개로서 이 중 의회등록단체와 향군성 인정단체에게는 의회 및 향군성의 정책결정에 필요한 의견제시가 허용되며, 제대군인을 위한 보훈시.. 강연자료 2006.04.17
역사속의 보훈 역사속의 보훈 우리 역사속에 보훈은 국가의 흥망성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국가와 민족을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기리고 보답할 때 국가는 융성하였으며, 국가가 쇠퇴하였을 때나 자주성을 침해받았을 때는 보훈정신이 쇠퇴하고 약화되었다. 외세가 우리나라를 강점한 시기에는 보훈.. 강연자료 2006.04.07
The New Face of War The New Face of War Bruce Berkowitz(미 후버연구소) 미국의 정보 및 군사전문가인 브루스 버코위츠(미 후버연구소)는 2003년에 출간한 저서 ‘전쟁의 새로운 얼굴(The New Face of War)’에서 5가지 숫자를 통해 9·11테러 이후 국제정치의 키워드를 제시했다. 먼저 7500억달러(약 862조5000억원). 지난해 지구상 모든 국가.. 강연자료 2006.04.06
패러다임 변화와 한국인의 특징 패러다임 변화와 한국인의 특징 -국가안보와 사회통합 측면에서- Ⅰ. 들어가는 말 - 안보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불안감과 피해의식이 사회전반에 표출되 면서 기존 북한위협 및 다양하고 다변적인 위협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 를 안고 있음. - 본 고에서는 국가안보와 사회통합 측면에서 패러다임의 변.. 강연자료 2006.04.06
부시 2기와 우리의 안보전망 부시의 2기 집권과 우리의 안보전망 (미 안보정책과 북핵문제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 북한을 보는 시각 - 현상적인 상황을 쫒아가는 방법, 거시적으로 국제 질서라는 관점에서 북한 문제를 보는 시각, 좁게는 동북아 정치, 경제라 는 관점에서 북한을 조망해 보는 시각 물론 북한 문제를 남.. 강연자료 2006.02.24